그룹화(접근 효과)
제 3자에게 내용을 이해하기 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정리한 다음에 유사한 정보끼리 가깝게 배치해서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요소 간의 거리, 게슈탈트 법칙
사람들은 무의석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나, 근처에 있는 것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연결시켜 인식하려고 한다. 이런 특징을 “게슈탈트 법칙” 이라고 한다.
- 구체적으로는 비슷한 요소끼리 가깝게 배열하고 반대로 연관성이 없는 요소는 떨어뜨려 배열 할 수 있다.
- 전체에서 가장 눈에 띄게 강조하고 싶은 요소가 있는 경우는 그 요소만을 덩어리에서 분리시켜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전체에서 가장 눈에 띄게 강조하고 싶은 요소가 있을 땐, 그 요소만을 분리시켜 배치하면 효과가 좋다.
내용을 이해한 다음에 레이아웃을 결정
내용을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분명하게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그룹화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 그룹화를 포함해서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감성을 제대로 파악해 그 감성을 잘 살릴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감성에 역행하게 되면 더더욱 이해하기 힘든 결과를 만든다.
그룹화의 포인트
각 요소를 그룹화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의해야 한다.
- 같은 의미나 역할을 하는 요소를 연결한다.
- 연관성이 낮은 요소는 서로 연결시키지 않는다.
- 배경을 적절히 이용한다.
- 디자인에서 배경이란 여백을 의미한다. 연관성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을 배열하는 경우에 명확한 차이를 알 수 있게 의식적으로 여백이 만들어지도록 신경을 쓰는게 좋다.
다양한 그룹화
요소를 그룹화하는 방법에는 가깝게 배열하거나 떨어뜨려놓거나 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색이나 형태로 그룹화하는 방법, 박스나 선으로 그룹화하는 방법도 있다.
접근 : 근접해 있는 요소들은 같은 그룹으로 인식되기 쉽다. 유사 : 유사한 색이나 형태의 요소들은 같은 그룹으로 인식되기 쉽다. 결합 : []와 같이 닫힌 형태의 요소들은 같은 그룹으로 인식되기 쉽고, ][는 같은 그룹으로 인식되기 어렵다.